통합검색세계 최고 수준의 기술, KOMSCO가 궁금하신가요?
미디어 동향
총 게시물 :
36
1/8
- [대일논단] 미운 오리새끼, 화폐박물관 [대일논단] 미운 오리새끼, 화폐박물관 < 대일논단 < 사외칼럼 < 오피니언 < 기사본문 - 대전일보 (daejonilbo.com) 여러분들은 어렸을 때 안데르센의 '미운 오리새끼'라는 동화를 읽어보셨을 것이다. 미움 받던 오리새끼가 다름 아닌 백조였다는 내용인데, 화폐박물관은 나에게 동화 속 미운 오리 새끼처럼 느껴졌다. 한국조폐공사에 부임해 업무와 시설에 대해 보고를 받으며 우리 공사의 화폐박물관에 대해 알게 됐다. 넓은 대지에 잘 가꿔진 잔디밭, 편리한 주차 시설, 카페, 탄동천 벚꽃 길을 품은 대한민국 최초의 화폐박물관. 1988년 개관해 지금까지 500만 명이 다녀간 대전의 명소임에는 틀림없다. 그러나 박물관을 보면서 한숨이 나왔다. 화폐 사업량 감소 등으로 회사 경영이 위기인데 박물관 담당 직원들을 상주시키며 무료로 운영하는 것이 큰 부담으로 느껴졌기 때문이다. 하지만 얼마 지나지 않아 화폐박물관이 지역의 문화공간이며 상생의 거점이라는 것을 알고, 그런 생각은 잘못된 것이었음을 느꼈다. 지난봄 화폐박물관이 개최한 '벚꽃페스티벌'에는 공연과 함께 벼룩시장이 열렸는데, 지역 내 사회적 기업과 단체 등 120여 업체가 참가해 성황을 이뤘고, 이를 위해 모여든 수천 명의 시민들과 아이들의 즐거움 속 활기 넘치는 모습을 보았다. 지난 팬데믹으로 어려움을 겪었던 지역 상인들에게 장터를 열어 판로를 만들었고, 수익금은 자발적인 기부로 이어져 지역 상생의 순환 고리를 만들어가고 있었다. 작년 12월 보건복지부에서 주관하는 '지역사회공헌 인정제'에 대전지역 공기업으로 5년 연속 선정된 곳은 조폐공사 등 2개 기관뿐인데, 화폐박물관이 절대적인 역할을 했기 때문이다. 사회적 약자들에 대한 교육도 열정적으로 펼쳐가고 있다. 장애인을 위한 경제교육, 다문화 가정을 위한 예술교육, 청소년을 위한 화폐교육은 문화기업을 지향하는 조폐공사의 구심점이자 공사 지식경영의 대국민 제공사업 일환으로 자리 잡았다. 지역 예술가를 위해 특별 전시실을 무료 대관으로 운영하며 작품 활동 지원에 나서는 것도 이 때문인데, 매년 20여 단체와 개인이 혜택을 받고 있다. 박물관 광장에서는 매년 봄 육상 꿈나무들의 미래를 응원하는 '조폐공사배 크로스컨트리 대회'도 개최해 50년 가까이 지원을 이어가고 있다. 박물관의 전시 구성도 흥미롭다. 주화역사관, 지폐역사관, 위조방지홍보관, 한국조폐공사관 등 총 네 개로 이루어진 전시실에는 고대부터 현대까지의 세계 각국의 희귀 주화와 화폐가 전시되어 눈길을 잡는다. 조폐공사의 위조방지 기술을 확인하는 것을 물론, 압인 기술을 활용한 BTS, 손흥민 선수의 메달 제품까지, 화려하고 특색 넘치는 오천여 점의 전시물을 관람할 수 있다. 이런 덕분에 초대할 수 있는 사람도 많아졌다. 지난 어린이날에는 지역 어린이들을 초청해 화폐에 관한 해설을 직접 해보는 경험도 했고, 보훈의 달 6월에는 6·25 참전 용사들을 모셔 어르신들이 받은 훈장도 조폐공사에서 만든다는 사실을 전해드려 각별한 기쁨을 선사했다. 지금처럼 아이들의 방학 기간에도 화폐박물관은 쉴 새 없이 바쁘다. 지역 초등학생들이 신청만 하면 견학은 물론, 만들기와 학습을 겸한 경제교육과 체험 프로그램을 경험할 수 있으며, 인형극 관람의 기회도 제공된다. 다가올 가을에는 볼거리가 더 풍성하다. 9월에는 버스킹을 비롯한 음악회 연주를 은행나무 아래에서 들을 수 있다. 그 옆 새롭게 단장한 카페 '休머니 라운지'는 커피 한잔을 하며 바라보는 창밖의 탄동천 풍경을 덤으로 즐길 수 있기에 박물관 관람객뿐 아니라 주위 연구원 직원들에게 인기가 많은데, 고객이 작년보다 30% 늘었다고 한다. 이렇게 화폐박물관은 다녀가는 모든 이들에게 웃음과 희망과 용기를 주고 있다. 크지는 않지만, 이것이 화폐박물관을 위해 투자를 하는 이유다. 다음 달 리뉴얼하는 위조방지홍보관에서는 조폐공사의 ICT·보안 기술 발전에 대한 전시물을 새롭게 만날 수 있고, 겨울쯤에는 화폐와 관련된 조폐공사만의 소소한 기념품을 고르는 재미도 즐길 수 있을 것이다. 흔히 대전을 노잼 도시라고 말하지만 화폐박물관만큼은 그렇지 않다. 주변 사람들만 누렸던 탄동천 산책길을 대전의 관광명소로 만들고, 화폐박물관 안에 숨어있던 아름다운 가치를 시민들에게 널리 전할 것이다. 미운 오리가 결국 백조로 커나갔듯, 화폐박물관의 미래도 여러분의 사랑을 받고 자라길 바란다. 성창훈 한국조폐공사 사장 한국조폐공사 2024-08-12
- "사필귀정"... 12년 만에 올림픽 동메달 목에 건 사연 “사필귀정”... 12년 만에 올림픽 동메달 목에 건 사연 (chosun.com) “사필귀정이라고 생각합니다.” 12년 만에 올림픽 동메달을 돌려받은 전상균(43)씨가 이처럼 말했다. 전씨는 국제올림픽위원회(IOC)의 공식 초청을 받아 9일 프랑스 파리 트로카데로 광장 챔피언스파크에서 동메달을 받았다. 전씨는 감격에 찬 표정으로 메달을 목에 걸었다. 전씨는 2012 런던 올림픽에서 남자 역도 105㎏+급에 출전해 4위에 자리했다. 당시 동메달은 러시아의 루슬란 알베고프에게 돌아갔다. 전씨는 “전에 본 적이 없는 러시아 선수가 갑자기 입상했었다”며 “그 선수가 어디서 갑자기 나타난 걸까 궁금했다”고 했다. 알베고프는 당시에는 도핑 테스트를 통과했으나, 2017년 실시한 검사에서 금지 약물 복용이 발각됐다. 국제역도연맹(IWF)은 알베고프의 공식 기록들을 최근부터 시간 순으로 삭제해 나가는 데 7년이 걸렸고, 지난 3월 런던 올림픽 3위 기록도 박탈하면서 전씨에게 동메달이 주어졌다. 전씨는 은퇴 후 소속팀이었던 한국조폐공사 화폐본부에서 직장인의 삶을 살고 있다. 전씨는 일과를 마치고 체력단련실에 가서 동료들이 역기를 드는 모습을 봐주고, 무거운 자재들을 들 때 자세를 교정해주는 등 선수로서 특성을 살려 직장에 녹아들었다. 뉴욕타임스는 ‘뒤늦은 메달로 올림픽의 가슴 아픈 상처를 치유할 수 있을까?’라는 기사로 전씨의 사연을 조명했다. 전씨는 이 기사를 통해 “그 소식을 듣고는 잠시 황홀한 기분이 들었지만, 처리해야 할 일이 있어 다시 업무에 집중했다”고 했다. 전상균씨의 딸도 올림픽 메달리스트의 꿈을 꾸고 있다. 17세 전희수양은 초등학교 때부터 역기를 들기 시작했다. 지난 6월엔 전국선수권대회 여자 고등부 76㎏급에 나서서 합계 233㎏을 들어 올리면서 학생 전국 기록을 경신했다. 전씨는 “딸이 나보다 더 훌륭한 선수가 되었으면 좋겠다”고 했다. 이어 전씨는 “올림픽은 정정당당한 스포츠 정신이 필요하다”며 “지금 이 순간에도 피땀 흘리며 열심히 올림픽을 준비하는 선수들에게 내 이야기가 타산지석이 됐으면 한다”고 소감을 밝혔다. 한국조폐공사 2024-08-10
- Can You Heal Olympic Heartbreak With Belated Medals? https://www.nytimes.com/2024/08/06/world/olympics/jeon-sang-guen-weight-lifting-medal.html?unlocked_article_code=1.BE4.Jm3j.qwT7B9IspKm1&smid=url-share A weight lifter walked away from his sport after a bitter loss in 2012. He and other athletes, including a U.S. figure skating team, will receive their medals in Paris. By John Yoon Reporting from Gyeongsan, South Korea Aug. 6, 2024 When Jeon Sang-guen’s barbell fell from his hands at the London Olympics, he knew everything was about to change. There would be no medal. No joyous celebration. His career in weight lifting, he knew in that moment, was probably over. Except, it turns out, it wasn’t. In April, Jeon was working at his desk at South Korea’s state-run currency maker when his phone rang. The voice on the other end delivered stunning news: The Russian who had finished ahead of him in London had been disqualified for a doping violation. Nearly 12 years after his crushing disappointment, the International Olympic Committee would be awarding Jeon the bronze medal after all. “It felt ecstatic for a moment,” Jeon, 43, said in his office in the southeastern city of Gyeongsan. And then he went right back to work. “I had other responsibilities,” he said. The reallocated medal, Jeon knew, could not undo the fact that his bitter fourth-place finish had altered the course of his life. He had returned home and taken a desk job. He had moved on. But this spring, as he processed the news of his belated achievement, Jeon said it rekindled a dream that he previously thought was unattainable: to become a coach. The bronze medal, which Jeon will receive during a ceremony at the Paris Olympics on Friday, is one of more than 160 Olympic medals that have been reallocated or withdrawn since drug testing began in 1968. The ceremony will belatedly recognize 10 athletes — runners, jumpers and lifters — who competed in London. That will come two days after a separate ceremony to reallocate the medals from team figure skating at the 2022 Beijing Olympics. The United States will now receive the gold, more than two years after a Russian skater was disqualified after she tested positive for a banned substance. Past reallocations have brought joy to athletes, but the experiences are often bittersweet, sometimes arriving years after the athletes have retired from competition and remade their lives permanently. The medal will not change the fact that Jeon left weight lifting behind years ago. He briefly worked as a coach after returning from London in 2012. But the team was disbanded as part of budget cuts two years later. The only way he saw to support his family was to take an office job. “I was afraid to start something I had never done in the more than 30 years of my life,” he said. “I just gritted my teeth and worked.” Life was different after London, he said. The misery was compounded when his younger sister died of breast cancer in 2016. His routine, after that, looked nothing like his athletic days: work, drink, sleep, repeat. Gone was a passion for lifting that he had nurtured since middle school at the suggestion of a coach who recognized his physical heft. He had attended a top sports university in Seoul. He had joined corporate weight lifting teams, common in South Korea, and ended up on the team owned by the Korea Minting and Security Printing Corporation. And after years of relentless training, he became an Olympian, qualifying to compete at the 2008 Games in Beijing. But in China, he failed to perform a full lift. He considered quitting the sport then, he said, “but when I told my mother I wanted to quit, she said, ‘If an athlete goes to the Olympics, shouldn’t he win a medal?’” So he pressed on, capturing a bronze medal at the world championships in 2011. His sights were set on an Olympic medal in London, where he finished having lifted 961 pounds in total. But the Russian lifter, Ruslan Albegov, surged ahead to seize the bronze. “If he had won the medal then, I think it would have boosted the morale among other weight lifters here,” said Chae Yongki, a coach who went to school with Jeon. “But I don’t know how much of an impact the medal has now that it’s been so long since he competed.” Jeon quit competing, but the sport did not fully relinquish its grip on his life. His wife is a weight lifting coach. Their younger child, 17-year-old Jeon Heesoo, started lifting weights in elementary school and was soon winning national championships, lifting more than one and a half times her body weight. In June, she broke the national record for students in her weight group, women’s 76 kilograms (about 168 pounds). All the while, something else gnawed at him: Albegov’s surprise performance. “A Russian athlete I had never seen before suddenly entered the competition,” Jeon recalled. “I wondered how he seemed to have appeared out of nowhere.” Suspicions swirled, fueled by Russia’s record of disqualifications and by revelations several years later of a state-run doping scheme. Drugs also plagued the highest levels of weight lifting, which prompted Olympic leaders to threaten to drop the sport in 2021. Jeon’s suspicions were vindicated. The International Weightlifting Federation suspended Albegov in 2017, charging him with doping. In March, the International Olympic Committee announced that it would strip him of the bronze medal from London. And on that day in April when Jeon picked up his phone at work, the Korea Weightlifting Federation was calling to tell him that he would receive the medal. The International Olympic Committee has said that it will hold a medal-reallocation ceremony for Jeon and nine other athletes on Aug. 9 at the Trocadéro Gardens at the foot of the Eiffel Tower. While Jeon felt wistful over the belated recognition, he also cited gains from his regular job. He said that the work was satisfying because it involved making products that guarded against fraud and that he was proud to have become confident in a skill that was previously alien to him. “A lot of athletes are intimidated by the thought of leaving sports,” he said. “I want to tell them that I’m doing well in my life after weight lifting.” He said he also had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politics of the company, which he hoped would revive the weight lifting team of which he was once a member. The company said in a statement that it would “thoroughly review the necessity of reviving the weight lifting team.” If it did, Jeon said, he would apply to be its coach. Otherwise, he felt, he was wasting his knowledge and experience. “It’s time for me to chase my dreams, too,” Jeon said over the sounds of grunts and falling weight plates as his daughter trained. Heesoo said her goal was to win an Olympic gold medal. “I want her to be better than me,” Jeon said. 한국조폐공사 2024-08-06
- [대전뉴스] 대전시 한국조폐공사, 지역 미술품 '요판 작업화' 협력 [대전뉴스] 대전시 한국조폐공사, 지역 미술품 '요판 작업화' 협력 (youtube.com) *클릭하시면 영상채널으로 이동됩니다. [아나운서] 대전 지역의 대표 미술품이 조폐공사의 첨단 요판 기술이 적용된 작품으로 제작됩니다. [기사] 요판이란 오목하게 조각된 판을 이용한 인쇄 기법으로 화폐제조에 쓰이고 있습니다. 대전시와 한국조폐공사는 협약을 맺고, 대전시가 지역의 미술 작품을 추천하면, 조폐공사가 요판기술을 접목해 작품화하기로 했습니다. 이밖에 지역 예술인 창작활동 후원에도 협력하기로 했습니다. 한국조폐공사 2024-08-06
- [대일논단] 대전·충남에게 조폐공사는? [대일논단] 대전·충남에게 조폐공사는? < 대일논단 < 사외칼럼 < 오피니언 < 기사본문 - 대전일보 (daejonilbo.com) 대전·충남지역 독자들은 대부분 한국조폐공사를 잘 알고 계실 것이다. 대덕연구단지에 있는 본사와 연구원 일대는 대전의 벚꽃 명소로 유명하기 때문이다. 탄동천 벚꽃 길을 모르신다면 꼭 방문하시라고 추천 드린다. 또한 여권과 신분증을 제조하는 ID본부는 유성구에, 화폐 용지를 만드는 제지본부는 충남 부여에 있는데, 조폐공사의 핵심 기관이 모두 대전·충남지역에 위치하는 셈이다. 조폐공사의 역사를 간단히 소개하면 1951년 한국전쟁 중 부산에 설립돼, 정부의 공공기관 지방이전 계획에 따라 1973년 공공기관 최초로 대전에 자리 잡았다. 처음에는 옛 충남도청 인근에 본사가 있었으나, 연구원을 운영하고 있었기에 대덕연구단지가 조성된 1987년에 지금의 위치로 이전할 수 있었다. 조폐공사와 대전·충남은 서로에게 도움을 주는 훌륭한 파트너라고 생각한다. 우선, 공사 직원들은 대전의 우수한 교육여건과 편리한 교통 등 잘 갖춰진 제반시설에 만족한 생활을 하고 있다. 그리고 대전·충남에게도 조폐공사는 많은 도움이 되고 있다. 첫째, 공사는 지역 인재들에게 좋은 직장이다. 공사는 쿼터제를 통해 지역 청년들에게 양질의 일자리를 제공하고 있는데 지난해엔 27%를 지역인재로 채용했다. 이밖에도 다양한 채용설명회를 비롯해 매년 70명 정도의 지역대학 현장실습생을 운영, 지역 취업정보와 일자리 체험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아울러, 공사 직원들은 충남대, 카이스트, 한남대 등에서 평생교육 차원의 학업을 계속하고 있다. 둘째, 대전지역 유관기관과의 협력관계로 시너지를 내고 있다. 지난 2021년부터 회사 내에 상생협력센터를 운영 중인데, 그간 지역 내 사회적 기업 등 12개 업체가 무료로 입주해 혜택을 받았고, 올해부터 지역 대학생 창업기업으로 확대 실시하고 있다. 충남대와는 산학 협력을 통해 우수인재 영입과 연구목적의 학술활동을 지원하고 있으며, 최근 업무협약에서는 혁신인재 양성과 양질의 청년 일자리 창출에 힘을 모으기로 했다. 대전세종연구원과는 뜻을 모아 지역 주민을 위한 경제교육 지원에도 앞장서고 있다. 이밖에도 대전 명물 성심당과 제휴해 출시한 '골드바 빵'과 '제로쿠키'도 지역주민과 관광객들에게 큰 사랑을 받고 있다. 셋째, 국내 화폐변천사를 한눈에 볼 수 있는 화폐박물관을 운영하고 있다. 1988년에 설립된 화폐박물관은 연중 무료입장이 가능하고 넓은 주차장과 잔디밭으로 지역 주민들의 쉼터를 제공하고 있다. 매년 봄에 열리는 '벚꽃 페스티벌'에서는 지역 기업의 장터와 바자회를 마련해 판로 확대를 지원하는 한편 대전 시민들에게 볼거리를 제공하고 수익금은 기부하고 있다. 화폐박물관 내에는 지역예술 작가들의 특별전시회가 연중 무료로 열리고 있다. 최근 개·보수를 마치고 새롭게 개장한 '休머니라운지'에서는 커피 한 잔의 여유로움을 즐길 수도 있다. 한편, 화폐박물관을 거점으로 봉사와 지역사회 공헌을 위한 다양한 활동도 지속적으로 이어가고 있다. 49년 역사의 '조폐공사 크로스컨트리 대회'를 매년 봄 개최해 지역 육상 꿈나무를 후원하고 있다. 어린이날을 비롯해 연말에는 사장이 산타클로스가 돼 지역 어린이 보호시설 '천양원' 아동들에게 선물을 전달하고 있다. 얼마 전 호국보훈의 달인 6월에는 대전지역 거주 6·25 참전 용사를 초청해 화폐박물관과 인근 아쿠아리움 관람 제공으로 어르신들께 감사의 의미를 전하기도 했다. 향후에도, 조폐공사가 지속적으로 발전해 대전·충남지역에 기여해야 하겠지만, 화폐수요 감소로 현재는 험난한 도전에 직면해 있다. 신사업 추진의 돌파구를 찾기위해, 제조기업에서 ICT기업, 문화기업 그리고 수출기업으로 전환을 시도하고 있는데, 그 중 대표적인 사업이 지역경제를 살리기 위해 추진하고 있는 지역사랑 상품권 착(chak)서비스 운영이다. 지난달 기준 전국 81개 지자체에서 공사의 생활 밀착형 플랫폼 '착(chak)'을 사용하고 있는데, 충남지역은 12개 지자체가 공사 서비스를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아쉽게도 대전과 충남지역 일부 지자체는 아직 공사의 서비스를 도입하지 않고 있다. 공사와 대전, 충남과의 우호 관계를 더욱 발전시키기 위해 조만간 대전, 충남 모든 지역에서도 공사의 '착' 서비스가 도입되길 희망한다. 성창훈 한국조폐공사 사장 한국조폐공사 2024-07-15